코스 : 세종대로(광화문~숭례문)
참가자 : 세종대로를 지나는 수 많은 서울시민들, 한자원, 김빛나, 김도현, 김별샘
-----------------------------------------------------------
50회를 향해 달려가는 탈핵자전거원정대!
24일 일요일에는 서울 차없는 날 행사가 진행된 시청부터 숭례문 까지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차 없는 날'은 1997년 프랑스 라로쉐에서‘도시에서는 내 차를 타지 않기!(In town, without my car!)’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일년 중 하루 동안 자가용을 타지 않음으로써 도시의 환경을 깨끗하게 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이 캠페인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뻗어나갔는데요.
한국은 2001년부터 시작해서, 2007년 서울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행사입니다.
이 행사에 참여한 많은 분들이 국경과 연령을 초월하여 '원전 대신 안전' 목소리를 보태주셨습니다!







뽀통령도 함께하는 '원전 대신 안전' !

#신고리댄스 까지!


-------------------------
2016년 하반기를 기억하시나요? 부정한 권력에 맞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일어난 시기임을 많은 분들이 기억하실겁니다. 쉬지않고 진행했던 촛불은 2017년 3월 9일, 부정한 권력의 첨탑이었던 박근혜 당시 대통령을 탄핵하는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촛불혁명이 시작된건 다른게 아니었습니다. 1차적으로는 부당한 권력의 첨탑인 박근혜하야 였지만, 핵심은 '부정의한 대한민국 사회를 정의롭게 만드는 것' 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부정의'한 모습들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원자력계 역시 그러한 모습들이 보이고 있는데요.
신고리 5,6호기 건설 강행을 주장하는 원자력계의 핵심 교수(부산대)가 공론화위원회 지원단에 의해 재개와 중단 양측의 자료집과 동영상 등을 검증하는 전문가위원으로 활동해온 것이 드러났습니다.

이 교수는 230인 원자력계 교수들 성명과 417인 원자력계 교수들 성명에 참여했으며, 지난 5년간 원자력 연구비로 85억 원 가량을 수주한 대표적 친원전계 인사인 동시에, 각종 TV 토론에서 원전산업계를 대표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강행과 탈원전 반대 논리로 방송출연과 기고문을 개재해왔는데요.
이 사람이 '중립적 전문가위원' 이라는 타이틀로 활동하는 것도 의심이 되는 마당에, 건설재개 측 토론회 패널로 나왔다는 것은..너무나 '부정의'한 모습이 아닐 수 없습니다.
'부정의'한 행태는 '정보 공개' 측면에서도 드러나는데요. 한수원은 '내부 규정' 이라는 이유로, 원자력 발전소 운영 중 발생한 사고 관련 데이터 일부만 공개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도 어려운 실정이지요.
다행히 산업부에서 '한수원 자체 정보공개 규정을 개정하고 지역에 대한 정보공개 범위도 현행 14건에서 확대할 계획' 이라고 밝혔지만, 이를 두고 일부 언론에서는 '탈원전 코드 맞추기' 라는 식으로 비난하고 있는게 현실이지요.

신고리5,6호기 백지화는 탈핵을 향한 첫 걸음인 동시에, 원자력계가 행해온 '부정의'를 고발하고 고쳐나가는 계기이기도 합니다.
그 정의로운 발걸음에 저희 탈핵자전거원정대도 함께 하겠습니다.
탈핵을 염원하는 여러분들도 함께 동참해주세요.
월요일은 건대입구로 갑니다. 그리고 조만간 탈핵자전거원정대의 대형 프로젝트(?)도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을!
-------------------------
다음은 1978년 고리 1호기 가동 이후 '알려진 원자력발전소 노동자 사망 사고' 현황입니다.
고리: 박신우(1988)- 임파선암으로 사망, 방윤동(1989)-위암으로 사망
월성: 권 모씨(2014)- 취수구 펌프 뻘 제거 작업 중 사망
한빛(영광): 김철(1992)-피폭으로인한 전신무기력증 등으로 인해 사망, 익명의 직원(2007)-취수구 현장 점검 중 익사, 방수로 작업 중 실종 후 사망된채 발견된 2인 (2014)
울진: 김상무(1989)-출혈성 백혈병으로 사망, 이희자(1990)-피폭 증세로 사망
신고리: 김 모씨(2017) - 배수관로 거품 제거 작업 중 추락사
안전하지 않은 원자력발전소로 인해 생을 달리한 노동자들과, 지금도 피폭으로 고통받고 있는 원전 노동자들 그리고 인근 거주 주민들을 기억해주세요.
------------------------------------------------------------------
나는 자전거를 탈 줄 안다. -> bit.ly/잘가라신고리
자전거는 못타지만 함께하고싶다. -> bit.ly/백지화필리버스터
원전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다면? -> nomorenuke.com
추가 소식: 본문에 나온 원자력계 교수는 25일 오후를 기점으로 전문가위원 지정이 철회되었다고 합니다. http://v.media.daum.net/v/20170925173158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