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김지형 위원장과 위원들이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회의를 준비하고 있다.
공론화위는 지난 2차 회의에서 '공론조사'와 '배심제'라는 서로 다른 결론 도출 방식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명확히 정리가 안 된 상태에서 브리핑하는 바람에 혼선을 빚었다.
공론화위는 당시 "배심원단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공론조사를 진행한다"며 "조사 대상자들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고 조사 결과를 정부에 권고한다"고 밝혔었다. 앞서 정부는 시민배심원단이 결정한다고 밝혔었다.
이에 신고리5·6호기 공사재개 또는 영구중단의 '결정주체' 등을 두고 혼선이 빚어지자 정부가 재차 입장을 정리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달 31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론화위가 시민을 통해서 내려주는 '결과'를 전폭적으로 수용해서 정부가 '결정'할 것"이라며 "정부가 책임, 결정의 주체라는 건 변함이 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기사 원문보기 : goo.gl/qHxz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