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시민참여단의 지역별 분포를 보니, 핵발전소와 거리가 먼 서울경기 주민들이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것을 보면 수도권에 신고리 5·6호기가 들어서는가 보다 하는 생각이 든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아래 공론화위)가 500명의 시민참여단을 결정하고 오리엔테이션에 이어 지역 토론회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신고리원전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론화위는 지난 16일 천안 계성원에서 첫 프로그램인 오리센테이션을 열었고, 18일 오후 부산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공론화위는 투명하고 공정하게 시민참여단 500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민참여단은 남자 255명(51%), 여자 245명(49)%)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19세 포함) 14.6%(73), 30대 17.6%(88), 40대 21.8%(109), 50대 22.4%(112), 60대 이상 23.6%(118)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서울 23.2%, 경기 24.2%, 부산 6.8%, 대구 6.0%, 인천 5.4%, 광주 3.4%, 대전 3.6%, 울산 1.4%, 강원 2.0%, 충북 2.8%, 충남(세종) 3.2%, 전북 5.0%, 전남 2.8%, 경북 4.2%, 경남 5.2%, 제주 0.8%다.
수도권이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숫자를 보면 부산 34명, 경남 26명, 울산 7명으로 다 합쳐봐야 서울(116명)이나 경기(121명)에 미치지 못한다.
이에 공론화위 시민참여단은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허문화 탈핵양산시민행동 공동대표는 "신고리 5·6호기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지역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 그 운명을 결정한다는 것은 잘못"이라 말했다.

▲ 허문화 양산탈핵시민행동 공동대표가 마스크를 쓰고 손팻말을 들고 서 있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s://goo.gl/yjkt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