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 영등포구청역 - 여의도샛강생태공원 앞 - IFC Mall - 여의도역 5번출구
참석자: 이민호 조민정 김별샘
---------------------------------------------------
2016년 9월 12일.
경주에 규모 5.8의 강진이 일어났습니다. 지질학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이 지진은 한반도 남부에 있는 활성단층인 양산단층대의 가지인 덕천단층'의 활동으로 발생했다고 합니다.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경주 시내에는 유리창이 깨지고 땅이 갈라지는 등 물리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경주는 특히 '천년고도' 의 고장인만큼 불국사, 첨성대 등의 문화재들이 많이 세워져있는 곳인데요. 이 지진으로 첨성대도 상층 부분이 기울어지는 피해가 있었고요. 총 100여 건의 문화재 피해가 있었습니다.

이런 문화재 피해도 문제였지만, 경주의 월성 원자력발전소와 핵폐기물 처리장 역시 피해를 입을 뻔한 아찔한 순간도 있었습니다.
이 지진은 인근의 울산, 부산, 멀리는 수도권까지 영향을 주었습니다. 본 지진이후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진원지 인근에서 약 60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되었습니다.
원자력계에서는 '원전의 내진 설계는 충분히 되어있다', '첨성대가 건재하니 한국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 고 홍보했습니다.

하지만, 지질학자들이 끊임 없이 양산단층의 위험성을 알렸음에도 그것을 묵살하고, 양산단층대 인근에 월성과 신고리 원자력발전소를 지은 것을 보면 여간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 경주 지진은 하나의 해프닝으로 넘어가는 듯 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한수원은 자신들의 치적을 홍보하고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가짜뉴스를 만들어달라는 하청을 조중동 및 여러 경제지에 주었습니다. 국민들이 내는 전기세로 말이죠...
<뉴스타파 목격자들 - 폭로! 원자력과 언론의 돈 거래 >
이런 만행을 두고볼 수 없기에, 자전거원정대는 오늘도 달렸습니다. 오늘은 특별히 많은 일정들을 소화했는데요.
아침에는 경주지진 1주기 기자회견에 다녀왔고요.

오후에는 그린아시아포럼 차 한국을 방문하신 해외 환경활동가들께 자전거원정대 활동을 알려드렸습니다. 이 분들은 이번 제 5회 그린아시아포럼에 발제를 담당하신 분들로, 몇몇 분들은 '환경의 노벨상'이라 불리우는 골드만 환경상 역대 수상자(앤드류 시몬스(Andrew Simmons)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킹스힐발전솔루션 이사(94 골드만환경상 수상), 프리기 아리산디(Prigi Arisandi) 인도네시아 ECOTON 대표(2011 골드만환경상 수상자), 뚜이 세레이바타나(Tuy Sereivathana) 캄보디아 국제동식물협회 본부장(2010 골드만환경상 수상자) ) 이십니다.
물론, 같이 #신고리댄스 도 추었지요 :)
이후에는 오늘의 출발지인 영등포구청역으로 향했습니다.


거점인 여의도역으로 가는 길에 샛강생태공원에서 잠시 한 컷 찍었습니다.

샛강은 한강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서울환경운동연합이 2012년부터 한강숲 조성 차원에서 나무를 열심히 심은 지역 중 한 곳입니다. 도심속에 생태공원이 참 아름답게 펼쳐져 있습니다!

자연의 정기를 받아 다시 여의도로!


여의도에 도착해서는 먼저 IFC 몰에 들렀습니다.


악당으로부터 조이랜드를 지키는 번개맨과 함께 원전 대신 안전을 외쳤습니다 ㅎㅎ

번개맨과의 조우 이후에는 여의도역 앞에서 유인물을 나눠드리며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이야기했습니다.



기분 탓인지 모르겠지만, 신고리 5,6호기와 재생에너지 투자 관련 이야기를 했을 때 약간의 흥미를 보이시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신고리 5,6호기 이슈가 오르내리는 시점에서 신고리 5,6호기 건설과 관련된 기업 주가가 떨어지고 있고, 대신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주력하는 기업의 주가가 오른다는 내용인데요.
자본 마저도 신재생에너지 투자에 좀 더 호의적인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게 참...흥미롭네요.
#신고리댄스 로 오늘의 캠페인을 마무리하였습니다.
내일은 강동구의 줌심, 천호로 갑니다!
서울의 동쪽 끝에서 탈핵을 외칩니다!
---------------------------------------
나는 자전거를 탈 줄 안다. -> bit.ly/잘가라신고리
자전거는 못타지만 함께하고싶다. -> bit.ly/백지화필리버스터
원전 문제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다면? -> nomorenuk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