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현장. 뉴시스]
환경운동 시민단체 ‘푸른아시아(Green Asia Network)’가 31일 국내 원자력 발전소 운용정책과 관련된 논평을 냈다.
‘푸른아시아’는 먼저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선언’ 이후 원전 이해관계자들의 반론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몇몇 언론의 지면을 통해 번갈아 가며 탈원전 반대 주장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환경 관련 국내 대표적 비정부기구(NGO)인 ‘푸른아시아’는 논평에서 “일부 언론은 원전 안전성을 누차 강조하더니 최근에는 세계원자력협회(WNA)의 ‘2017 세계 원자력 성과 보고서(World Nuclear Performance Report)’를 인용해 파리협정 이후 오히려 원전이 늘어났다며 탈원전은 어리석은 결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은 늘어난 원전 ‘숫자’에만 주목할 뿐 전체 발전 중에서 원전 비중이 낮아진 것은 애써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푸른아시아’는 “원전의 불안정성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수차례의 원전사고 외에도 사용후핵연료 처리의 어려움, 40년에 거친 폐로 기간과 과다한 관리비용에서도 알 수 있다”면서 “WNA에 따르면 전세계 발전량 중 원전비중은 1996년 18%를 정점으로 하락해 2014년에 10.6%까지 하락했으며 박근혜정부의 「2016 원자력발전 백서」에서도 ‘2015~2040년 추가 원자력 발전 용량은 465기가와트(GW) 정도이며, 이는 원전을 포함한 총 발전용량 증가분 6,713GW의 약 5%'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 원문보기 : goo.gl/98NF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