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친원전 진영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때문에 다음달 입찰 공고를 내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원전을 수출할 길이 막혔다고 비판한다. 사우디가 원전 사업을 포기한 국가의 원전을 구입할 리 없고, 결국 한국은 20조원가량의 사우디 원전 사업을 발로 걷어차게 됐다는 게 이들의 논리다.
하지만 한국의 원전기술이 가진 한계 때문에 사우디에 원전을 수출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1.4GW급 원전 2기를 내년 착공할 계획을 갖고 있는 사우디는 이르면 다음달 국제입찰 공고를 낸다. 사우디는 장기적으로 2032년까지 17.6GW의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지난 1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 부대행사에서 자국의 원전 프로젝트 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국은 사우디 측과 양자회담을 열었다. 한국과 사우디 간 회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얘기가 오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은 현재 사우디에 원전을 독자적으로 수출할 수 없다.
한국 원전의 수출 모델은 3세대 한국형 원전으로 불리는 ‘APR1400’이다.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 수출했고, 신고리 5·6호기도 이 모델을 채택했다. APR1400은 컴버스천엔지니어링(현 웨스팅하우스)의 ‘System80+’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원천기술, 즉 특허권을 웨스팅하우스가 갖고 있어 미국 측 승인 없이는 수출할 수 없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s://goo.gl/GTzVW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