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ㆍ전력수급 영향 없다

▲지난 8월3일 경기 수원시 한국전력공사 경기지역본부에서 관계자들이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여름철 전력 수요가 높았지만 발전소 15기가 새롭게 가동되면서 전력예비율은 여유로운 상황이었다. 연합뉴스
원자력발전소의 건설 목적은 ‘전력 생산’이다. 건설인력 투입과 국가 보조금 지급 등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는 부차적인 사안이다. 신고리 5·6호기 역시 국내 전력소비량이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건설계획이 잡혔다. 무엇보다 전력수요 관리보다는 공급 위주의 전력 정책을 편 게 원전 건설을 부추겼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정부가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추진하면서 원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미래 전력수요 전망치가 과거보다 대폭 낮아지면서 신고리 5·6호기 건설 명분은 점차 동력을 잃고 있다.
신고리 5·6호기 준공 목표는 각각 2021년 3월, 2022년 3월이다. 건설이 중단된다고 해서 당장 전력공급에 차질이 생길 일은 없다는 것이다. 올해 여름철 전력수요 실적만 봐도 현재로선 전력공급 여유가 충분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17일 전력거래소의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최대 전력수요량은 84.59GW(7월21일)였다. 전체 발전설비 용량(올해 약 113GW) 가운데 가동되지 않은 발전설비 비중은 34.0%였다.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여름철에 발전설비 예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은 14년 만에 처음이다. 정부는 2년 전 7차 수급계획을 통해 2029년까지 22%의 설비 예비율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는데 올해 이미 이 수준을 훨씬 뛰어넘은 것이다. 다시 말해 신고리 5·6호기가 없어도 현재 발전설비 여유는 충분한 셈이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s://goo.gl/16kh1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