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저준위 핵폐기물이 담긴 드럼통이 경주 방폐장에 쌓여 있다. 중·저준위 핵폐기물은 물론 폐연료봉 같은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한국을 포함한 원전 보유국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다. 고준위 핵폐기물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를 완전히 해결한 나라는 없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원전은 핵연료봉을 써서 고효율의 에너지를 얻고 일종의 쓰레기인 ‘사용후핵연료’를 남긴다. 일반적인 쓰레기라면 소각하거나 파쇄하면 될 일이지만 사용후핵연료는 그게 불가능하다. ‘핵쓰레기’ 문제의 최전선에 백씨와 양남면이 있다. 한국에는 사용후핵연료를 영구 저장하는 시설이 없다. 그간 각 발전소는 부지 내에 임시저장시설을 만들어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해왔다. 하지만 그 저장시설마저 포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 가장 빠른 곳이 월성 원전이다. 지난해 말 기준 월성의 임시저장시설의 84.6%가 채워졌다. 정부는 2019년이면 월성의 저장시설이 포화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월성이 좀 더 빨리 겪는 문제일 뿐 고리와 한빛 원전도 2024년이면 임시저장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른다. 주민들은 벌써부터 추가 시설 건설을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100대 국정과제를 발표하면서 공론화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추가 저장시설 건설 등의 문제도 공론화 범위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s://goo.gl/r9aYz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