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고리 5·6호기 원전 건설에 대한 찬반양측이 팽팽히 맞섰다.(자료사진) ⓒ연합뉴스
"전력 다소비 사회·핵폐기물 위험성…에너지 효율개선 시급" "국내 원전 안정성 세계 최고 수준…국내 원전 발전시켜야"
신고리 5·6호기 원전 건설에 대한 찬반양측이 팽팽히 맞섰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을 요구하는 측은 원전밀집도 및 핵폐기물에 따른 위험성을, 건설재개를 요구하는 측은 국내 원전기술의 우수성과 비용절감 등을 근거로 첨예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사 중단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공론화 작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폭넓은 국민 의견수렴을 위한 지역순회 토론회가 본격화됐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광주, 부산에 이어 서울에서 전국순회 토론회를 개최하고 지역민 여론 수렴에 나섰다.
토론회에는 학계·민간단체 등 각계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 참여했으며,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한 찬반양론으로 나뉘어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건설 재개 측은 국내 원전 기술산업 쇠퇴 문제와 에너지 설비 비용 인상 및 일자리 손실을 우려했고, 건설 중단 측은 안전성 문제와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필요성을 근거로 첨예한 공방을 이어갔다.
먼저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측에서는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처장이 대표로 목소리를 높였다. 그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전력 다소비 사회로 에너지 효율 개선이 시급하고, 무엇보다 고준위 핵폐기물의 위험성도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양 처장은 "우리나라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너무 싸게 공급해주기 때문에 전기가 낭비되고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기술발전으로 전 세계 전력소비는 정체되거나 줄어들고 있고 태양광 확대로 전력 피크를 완화하면 기저발전(원자력·석탄)도 불필요하므로 비정상적으로 과다한 발전소는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안전성 문제도 짚었다. 양 처장은 "이미 우리나라 핵폐기물 임시저장소는 포화단계"라며 "원전의 사고 확률이 낮아서 당장 사망한 피해자가 많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방사능은 수백 년, 수천 년간 땅을 오염시킨다"고 지적했다.
이어 "원전 중대사고 확률은 굉장히 과학적이고 수학적이지만 현실세계는 책 속의 계산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서 "후쿠시마 1호기는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1억 년의 1번이라고 평가받았던 원전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도에 원전을 건설하는 나라는 없다. 100% 안전한 원전은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기사 원문 보기 : https://goo.gl/VMwDSL